밀푀유 6호 : La panne géante de Kakao et la loi antitrust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6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벌써 11월도 절반이 지났네요.
이번 6호의 주제는 '카카오 먹통 사태'와 '반독점 규제'입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각국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반독점 규제를 마련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우리나라도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로 인해 일상 생활이 멈추는 경험을 하면서 반독점 규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요, 유럽에서는 어떤 반독점 규제가 있는지도 함께 담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재미있게 읽어 주세요! :) |
|
|
La panne géante de Kakao 카카오 먹통 사태
Le 15 octobre, la Corée du Sud a été paralysée. C’était l’incendie d’un centre de données de Kakao qui a bouleversé le quotidien des Coréens. Kakao est une grande entreprise coréenne dont l’application KakaoTalk est utilisée par la quasi-totalité (90%) de la population. Kakao fournit non seulement l’application de messagerie, mais aussi des services dans tous les aspects de la vie quotidienne des Sud-Coréens, comme des services de commerce, de banque, de transport, etc. Pour les Français, imaginons qu’un seul conglomérat qui gère WhatsApp, Gmail, Google Maps, Uber, Spotify et Apple Pay en même temps. Et tous ces services sont tombés en panne en même temps.
Cet événement a renforcé la nécessité de prendre des mesures à l'échelle nationale destinées aux conglomérats géants qui dominent l’économie du pays pour protéger le bien du peuple. Parce qu’il s’avère qu’une panne des plateformes numériques monopolistiques comme Kakao pourrait être une grande menace pour les Coréens et la sécurité nationale. Elles sont déjà profondément enracinées dans notre vie quotidienne à tel point que nous ne pouvons pas nous passer d’elles.
10월 15일, 한국이 마비되었다. 한국인들의 일상을 뒤집은 것은 카카오 데이터 센터의 화재였다. 카카오는 한국의 대기업으로,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그들의 앱 ‘카카오톡’을 사용한다. 카카오는 메신저 앱(카카오톡) 뿐만 아니라, 커머스, 금융, 교통 등 한국인들의 일상 생활 전반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랑스로 치면 한 기업이 왓츠앱, 지메일, 구글 맵, 우버, 스포티파이, 애플 페이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서비스들이 동시에 다운되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민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 경제를 주도하는 거대 기업들에게 국가적 차원에서 조치를 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왜냐하면 카카오와 같은 독점적인 디지털 플랫폼의 다운은 국민들과 국가 안보에 커다란 위협이 될 수 있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이미 우리가 그것들 없이 생활하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일상 생활에 깊이 뿌리 박혀 있다.
|
|
|
La grande puissance est une grande menace 큰 권력은 곧 큰 위협
Les plateformes numériques ont des caractéristiques différentes à celles d’autres sortes d’entreprises. Puisque la valeur de plateforme est proportionnelle au nombre de ses utilisateurs, une poignée de plateformes qui ont le plus grand nombre d'utilisateurs survivent. Et après avoir eu le statut monopolistique, elles étendent leurs affaires en se basant sur les données et les informations personnelles des utilisateurs. La loi antitrust vise à lutter contre les entreprises tellement monopoles ou oligopoles qui pourraient porter un coup mortel à la vie quotidienne des citoyens, voire aux moyens de subsistance si la panne de leurs services surprend comme cette situation de perturbation de Kakao.
디지털 플랫폼은 다른 종류의 사업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플랫폼의 가치는 이용자 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한 소수의 플랫폼들만이 살아남는다. 그리고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난 후에는, 플랫폼은 이용자들의 데이터와 개인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한다. 반독점 규제는 이번 카카오 먹통 사태처럼 서비스가 불시에 다운되면 시민들의 일상 생활과 심지어는 생계 수단에도 치명적인 타격을 입힐 수 있는 독과점 기업들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
|
|
La loi antitrust de l’Europe 유럽의 반독점 규제
En fait, les États dans le monde sont en passe de réglementer le monopole des géants du numérique. Cette fois, on va examiner le cas d’Europe. En Europe, le Digital Markets Act (DMA) a été approuvé définitivement par le Conseil de l’Union européenne en juillet 2022. Il s’appliquera dès mai 2023.
Le DMA a pour but de limiter les pratiques anticoncurrentielles et les activités économiques des grandes plateformes, en particulier des GAFAM (Google, Apple, Facebook, Amazon et Microsoft) et de promouvoir une concurrence loyale dans le marché numérique européen. La Commission européenne qualifie les grandes plateformes de « contrôleurs d’accès », qui sont devenues des passerelles pour profiter des avantages d’Internet, et leur impose plusieurs obligations et interdictions.
Par exemple, elles devront rendre leurs services de messagerie instantanée interopérables avec ceux d’autres entreprises, autoriser les vendeurs à faire de la publicité de leurs produits ou services et à signer des contrats en dehors des plateformes. De plus, elles ne pourront plus exhiber leurs produits ou services préférentiellement par rapport à ceux des concurrents et réutiliser les données personnelles des utilisateurs sans leur consentement explicite pour la publicité ciblée. En cas d’infraction, elles se verront infliger une amende pouvant aller jusqu’à 10% de son chiffre d’affaires mondial total, et jusqu’à 20% en cas de récidive.
실제로 세계 각국에서는 거대 빅테크 기업들의 독점을 규제하려고 하고 있다. 이번에는 유럽의 사례를 살펴보자. 유럽에서는 22년 7월, DMA 법이 유럽 연합 이사회에 의해 최종 통과되었다. 이 법은 2023년 5월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DMA는 거대 플랫폼들, 특히 GAFAM(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의 반경쟁적 행위와 경제 활동을 제한하고 유럽 디지털 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독려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유럽 위원회는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한 관문이 된 거대 플랫폼들을 ‘게이트키퍼’라고 규정하고 그들에게 몇 가지 의무와 금지 사항들을 부과했다.
예를 들어, 이제 플랫폼들은 자사의 메신저 서비스를 다른 기업의 서비스와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고, 판매자들이 플랫폼 외부에서도 그들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고 계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플랫폼들은 더 이상 자사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사들의 것보다 우선적으로 노출할 수 없으며, 이용자들의 명시적 동의 없이 그들의 개인 정보를 타깃 광고에 활용할 수 없다. 플랫폼이 이를 위반할 경우 글로벌 총 매출의 10%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반복해 위반할 경우 20%까지 부과될 수 있다.
|
|
|
✍️ 이것만은 꼭! - 디지털 플랫폼과 관련된 표현
-
- conglomérat 복합 기업, 대기업
- plateforme numérique 디지털 플랫폼
- loi antitrust 반독점 규제, 독점 금지법
- monopole ou oligopole 독과점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