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33호 : La souffrance (de l'eau) de Mayotte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33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어느새 한 해의 마지막 달입니다. 2023년도 따뜻하고 행복하게 마무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오늘은 아프리카 대륙 옆의 프랑스령, 마요트 섬에서 일어나고 있는 물 부족 사태에 대해 썼습니다. 다들 '물 부족'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일상 생활에서 이를 체감해본 적은 없으실 텐데요, 저도 마찬가지라 이번 레터를 쓰면서 우리나라의 상황은 어떤지 찾아보았습니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서는 1인당 가용 수자원량을 기준으로 물 기근 국가, 물 스트레스 국가, 물 풍요 국가 3가지로 분류하는데, 우리나라는 이 셋 중 물 스트레스 국가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저도 여기까지는 놀랍지 않았는데 이 다음 소식은 좀 충격적이었습니다. 환경부에서 발표한 2020년 상수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당 하루 평균 물 사용량은 295L인데요, 이는 세계적으로 미국, 일본에 이어 3위 수준이고 유럽 국가들의 2배 수준이라고 하네요. 수자원의 절대적 양이 부족한데도 이에 대한 위기 의식이나 절약 의지가 적다는 것이지요.
사실 환경 문제를 피부로 체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환경 보호 노력이 늘 후순위가 되기도 하고요. 하지만 제가 어릴 때보다 위기가 훨씬 가까이 다가왔다는 것은 실감이 나네요. 모두의 문제인 만큼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같이 발전했으면 합니다. 오늘 레터를 읽으시면서 우리나라도 언젠가 겪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늘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
|
|
Crise de l’eau à Mayotte 마요트 섬의 물 부족
Avez-vous déjà imaginé passer une journée sans boire une goutte d’eau ? Vous êtes-vous retrouvé dans une situation où vous ne pouviez pas faire la vaisselle ou tirer la chasse à cause du manque d’eau ? C’est la réalité à Mayotte. Cet archipel, subissant des coupures d’eau régulières depuis 2016, est confronté à une crise sans précédent en matière d'eau. Depuis le début de septembre, l’eau ne coule des robinets mahorais que tous les trois jours, dans le but d'économiser l’eau jusqu’au décembre ou au janvier, la prochaine saison des pluies.
Mayotte, île située à l’est du continent africain, est l’un des départements d’outre-mer et le 101ème département de France. C’est à la fois le département le plus pauvre et le plus fécond parmi les 101 départements français, abritant au moins 300 000 habitants. Quelles mesures l’État prend-il pour son territoire qui connaît la pénurie d’eau ?
당신은 물을 한 모금도 마시지 않는 하루를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물이 없어 설거지를 하지 못하거나 변기 물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본 적이 있는가? 마요트 섬에서는 이것이 현실이다. 2016년 이후부터 정기적으로 단수를 겪던 이 섬은 물과 관련해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다. 지난 9월 초 이후, 마요트 섬의 수도에서는 3일에 한 번만 물이 나온다. 다음 우기로 예상되는 12월에서 내년 1월까지 물을 아끼기 위해서다.
마요트 섬은 아프리카 대륙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프랑스의 해외 영토(D.O.M.)이자 101번째 구(département)이다. 그리고 101개의 구 중 가장 가난하고 가장 출산율이 높은 구이기도 하다. 섬에는 최소 30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산다. 물 부족에 시달리는 자신들의 땅을 위해 프랑스 정부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
|
|
Mayotte a encore soif 마요트는 여전히 목이 마르다
Pour être direct, l’État est en train de répondre aux besoins urgents. Selon Le Monde, « l’État n’a pas pris la main devant une catastrophe prévisible ». Comme mentionné précédemment, Mayotte éprouve des difficultés d’approvisionnement en eau depuis 2016. Cette situation, déjà précaire, a atteint son point le plus critique depuis la sécheresse de mars de cette année. À partir de septembre, le gouvernement français a commencé à distribuer de l'eau aux Mahorais, en commençant par les personnes handicapées, les personnes âgées de plus de 65 ans, les femmes enceintes et les nouveau-nés. Ces personnes ciblées recevaient une ration quotidienne de 2 litres d'eau. Depuis le 20 novembre, la distribution a été élargie à l'ensemble de la population, et des militaires ont été déployés pour une meilleure répartition.
Des collectifs, dont « Mayotte a soif », manifestent régulièrement. Ils affirment que le manque d’eau viole leurs droits fondamentaux et reprochent au gouvernement de ne pas prendre autant de mesures financières et judiciaires que s’il s’agissait de Paris. Ils demandent également de l'aide pour fournir de l'eau potable essentielle à la survie, et non pour des tâches domestiques comme le ménage ou la chasse d’eau.
Cette pénurie d’eau non seulement porte atteinte à la dignité humaine, mais affecte également la santé des Mahorais, qui font face à des crises sanitaires telles que des épidémies de gastro-entérite, de choléra, d’hépatite A, de fièvre typhoïde et de poliomyélite.
결론부터 말하자면 급한 불을 끄는 중이다. 르몽드에서는 ‘정부가 예상 가능한 이 재앙 앞에 손을 놓고 있었다’고 표현했다. 앞서 말했듯 2016년부터 마요트 섬은 수도 공급에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어 왔다. 가뜩이나 좋지 않았던 상황은 올해 3월 가뭄 이후 최악으로 치달았다. 프랑스 정부가 물 배급을 시작한 것은 올해 9월부터다. 먼저 장애인, 65세 이상의 고령자, 임산부, 신생아 등 취약 계층 5만 명을 대상으로 매일 인당 2리터씩을 배급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11월 20일 이후로는 섬 주민 전체에게로 확대되었고, 원활한 배급을 위해 군인들이 배치되었다.
‘Mayotte a soif (마요트는 목이 마르다)’를 비롯한 단체들은 계속해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물 부족으로 인해 기본권이 훼손되고 있으며, 같은 상황이 파리에서 일어났다면 정부에서 더 많은 법적, 재정적 조치를 취했을 것이라고 비판한다. 또한 그들은 ‘집안 청소나 화장실 물을 내리는 데 필요한 가정용수가 아니라, 생존에 필수적인 식수를 원조해달라’고 요구한다.
물 부족은 인간의 존엄성뿐만 아니라 건강까지 훼손한다. 주민들은 장염과 콜레라의 유행, A형 간염, 장티푸스열과 소아마비 등 보건 위기를 겪고 있다.
|
|
|
Les Mahorais en danger 위기의 마요트
La colère s'est transformée en violence. Le ministre délégué aux Outre-mer s’est rendu à Mayotte le 28 novembre, où il a été confronté à de nombreux actes de violence, tels que l'incendie de biens publics ou le pillage de magasins. Les habitants ont lancé des cocktails Molotov sur des voitures de gendarmerie et ont caillassé des véhicules privés. Le maire Moudjibou Saidi a décrété un couvre-feu de trois semaines pour protéger les mineurs. En réponse, le ministre de l’Intérieur, Gérald Darmanin, a annoncé l’envoi d'un escadron supplémentaire de gendarmes mobiles. Actuellement, les Mahorais n’ont de garantie ni pour l’eau, ni pour la santé, ni pour la sécurité.
분노는 폭력이 되었다. 필립 비지에(Philippe Vigier) 해외 영토 특임 장관은 11월 28일 마요트 섬을 방문했고, 공공재 방화, 가게 약탈 등 각종 폭력 사태를 마주했다. 주민들은 헌병대의 차에 화염병을 던지고, 자가용에 돌을 던졌다. Moudjibou Saidi 시장은 미성년자 보호를 위해 3주간 야간 통행 금지령을 내렸다. 내무부 장관 Gérald Darmanin는 이동 헌병대 1개 중대를 추가로 파견하여 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 마요트 섬의 주민들은 물, 보건, 안전(치안) 어느 것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tirer la chasse 물을 내리다
- coupure d'eau 단수
- mahorais 마요트 섬(사람)의
- pénurie 부족, 결핍
- approvisionnement 필수품 공급(보급)
- sécheresse 가뭄
- distribuer 분배하다, 배급하다
- pillage 약탈
- couvre-feu 야간 통행 금지령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