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32호 : l'écriture inclusive - 3 points en question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32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오늘은 31호에 이어 포괄적 글쓰기에 대해 더 심도 있게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사실 이 주제가 페미니즘과 맞닿아 있어서인지, 자료를 찾다 보니 찬성 측의 논거가 훨씬 많더라고요. 그래도 최대한 한쪽에 치우치지 않게 양측의 논거를 모두 담아내려 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레터에서 한 가지 정정하고 싶은 부분이 있는데요, 중간점(le point médian)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포괄적 글쓰기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방법(la méthode la plus courante)이라고 소개했었는데, 가장 자주 쓰인다기보다는 가장 논란이 되는 방법(la plus polémique)이 더 맞는 표현일 것 같아요. 반대 측으로부터 많이 공격받고 많이 노출되어서인지 보통 '포괄적 글쓰기' 하면 가장 흔히 떠올리는 방식이긴 합니다.
앞으로 더 정확하고 정제된 표현으로 쓰도록 노력하는 밀푀유가 되겠습니다!
날이 많이 추워졌습니다. 올해도 벌써 한 달 남짓밖에 남지 않았네요.
오늘도 재미있게 읽어주시고, 따뜻한 연말 보내시길 기도하겠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
|
|
La caractéristique de « la langue » '언어'의 특성
Tout d’abord, on peut penser au rôle et à l’essentiel de la langue. Les défenseurs de l’écriture inclusive affirment que « la langue structure notre pensée ». Cela signifie que l'utilisation du système où le masculin représente le neutre centralise la pensée autour de l'homme et tend à rendre les femmes invisibles. Par exemple, dire « les agriculteurs ont fait grève » efface systématiquement les agricultrices, bien que les femmes représentent environ un quart des chefs d’exploitation ou d’entreprises agricoles en 2020. Eliane Viennot, historienne du langage, souligne que « le langage structure notre pensée : il ne fait pas que la refléter, il l'oriente ! »
Cependant, les opposants de l’écriture inclusive soutiennent que le genre grammatical est totalement arbitraire et n'a aucun lien avec le sexe biologique ou réel des personnes. Par exemple, « le livre », masculin, vient du mot latin « liber », également masculin, alors que « la livre », unité de poids, vient de « libra », féminin en latin. Ainsi, il ne faut pas oublier que le genre d'un nom n'est pas lié au sexe de ce à quoi il se réfère.
De plus, les détracteurs reconnaissent l'impact du discours sur la pensée, mais ils insistent sur la nécessité de séparer « la langue » de son « usage ». Autrement dit, la langue elle-même est un système abstrait et n'est pas intrinsèquement discriminatoire. Pour appuyer cette prétention, ils citent en exemple les pays anglophones où l'anglais est moins genré que le français, mais où la structure sociale et politique n'est pas fondamentalement différente de celle de la France.
먼저 우리는 언어의 역할과 본질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포괄적 글쓰기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언어는 우리의 생각을 구조화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즉 남성형이 중성을 나타내는 언어 체계를 사용할 경우, 남성 중심적으로 사고하게 되고 여성을 비가시화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농부들(les agriculteurs)이 파업에 돌입했다’고 말하는 것은 (남성 복수형 속에 포함된) 여성 농부들(les agricultrices)의 존재를 지워버린다. 2020년에 전체 농경지 소유주의 약 1/4은 여성이었음에도 말이다. 언어 역사학자인 Eliane Viennot는 “언어는 우리의 생각을 구조화한다 :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반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고를 지배한다”고 말한다.
이에 반해 포괄적 글쓰기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문법적 성(性)은 완전히 자의적인 것이며, 사람들의 현실 세계나 생물학적 (性) 성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남성형 명사 ‘livre(책)’는 라틴어의 남성형 명사 ‘liber’에서 온 것이지만, (동일 철자를 가진 여성형 명사) ‘livre(파운드, 무게 단위)’는 라틴어의 여성형 명사 ‘libra’에서 온 것이다. 따라서 단어의 성은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의 성과 연관 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포괄적 글쓰기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말이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인정한다. 다만 그들은 ‘언어’와 그것의 ‘용법’을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다시 말해 언어 그 자체는 하나의 추상적 체계일 뿐이며 본질적으로는 차별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이들은 영어권 국가들의 사례를 인용한다. 영어는 프랑스어보다 성 중립적인 언어지만, 영어권 국가들의 사회 정치적 구조는 프랑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
|
|
L’écriture plus complexe 더 복잡한 글쓰기
Ensuite, en ce qui concerne l’écriture inclusive, ses détracteurs critiquent principalement sa complexité. Cette forme d'écriture rend la langue plus complexe et menace son universalité. Environ 6 à 8% de la population française souffre de troubles « dys » (dyslexie, dyspraxie) et 2,5 millions de Français sont en situation d’illettrisme. Notamment parmi les jeunes, un sur dix a des difficultés à lire et environ la moitié de ces 10% souffre d’illettrisme, selon une étude du ministère de l’Éducation publiée en juin 2023. De nombreuses associations de parents d'élèves et des enseignants expriment leur inquiétude quant à l'introduction de l’écriture inclusive dans l'enseignement, arguant que cela casse les règles grammaticales actuelles telles que celles de prononciation, de ponctuation et de morphologie. Dans un contexte où le temps consacré à la lecture est moindre que celui passé sur les écrans, cette inquiétude semble légitime.
Sur ce point, les partisans défendent que le point médian, qui nous inquiète le plus, n’est qu’une manière parmi d'autres d'appliquer l’écriture inclusive, comme l'utilisation de mots épicènes ou de la double flexion. Par exemple, dire « la communauté étudiante » au lieu de « étudiants » ou utiliser « Français et Françaises » au lieu de « Français ». De plus, pour eux, le point médian sert d'abréviation, similaire à « M. » pour « Monsieur », permettant ainsi de lire « étudiant·es » comme « étudiants et étudiantes ». Heureusement, son accessibilité s’améliore aussi. Dans « Le Hackathon Écriture inclusive », le premier événement qui couvre ce sujet seulement au niveau de la technique, différents outils pour promouvoir l’adoption de l’écriture inclusive se sont présentés : convertisseurs en écriture inclusive, plateforme collaborative de monitoring des pratiques et même logiciel de lecture automatique pour les personnes malvoyantes.
포괄적 글쓰기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가장 비판하는 지점은 그것의 복잡성이다. 이러한 방식의 글쓰기는 언어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언어의 보편성을 위협한다. 전체 프랑스 인구의 6~8%가 난독증을 앓고 있고, 약 250만 명의 프랑스인이 문맹이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23년 6월에 발표된 교육부의 연구는 프랑스 청소년 10명 중 한 명은 읽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들 중 절반은 문맹이라고 밝혔다. 많은 학부모 단체와 교사 연합에서는 포괄적 글쓰기가 기존의 발음, 구두법, 형태론적 규칙들을 파괴하기 때문에 그것이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책보다 전자기기를 보는 시간이 더 많은 현 상황에서 이러한 우려는 타당해 보인다.
이에 대해 찬성측에서는 가장 우려되는 부분인 ‘중간점’은 포괄적 글쓰기의 한 방식일 뿐이며, 양성어의 사용이나 동어 반복 등 다른 방식들도 있다고 반론한다. 예를 들어 ‘étudiants (학생들)’ 대신 ‘la communauté étudiante (학생 집단)’ 이라고 쓰거나 ‘Français (프랑스인들)’ 대신 ‘Français et Françaises’라고 쓰는 것이다. 또한 그들에 따르면 중간점도 약어의 기능을 할 뿐이다. ‘M.’라고 쓰고 ‘Monsieur(~씨)’ 라고 읽듯이, ‘étudiant·es’ 라고 쓰고 ‘étudiants et étudiantes’ 라고 읽는 것이다. 덧붙여, 다행히도 중간점에 대한 장벽 역시 낮아지고 있다. 포괄적 글쓰기에 대해 오직 기술적 관점으로만 접근한 첫 번째 행사인 ‘포괄적 글쓰기 해커톤’에서는 포괄적 글쓰기 변환기, 글쓰기 모니터링을 위한 협업 플랫폼, 그리고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동 읽기 소프트웨어까지, 이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들이 소개되었다.
|
|
|
L’écriture plus idéologique 더 이념적인 글쓰기
Dernièrement, ce qui est intéressant est que les partisans et les opposants affirment tous que l’écriture que l’adversaire soutient est plus idéologique et politique.
D'un côté, les partisans considèrent la règle actuelle, où le masculin représente le neutre, comme un produit du patriarcat. Ils argumentent que jusqu'au Moyen Âge, on utilisait couramment la règle de proximité, mais celle-ci a été abolie au 18ème siècle avec l'apparition de l'Académie française. Scipion Dupleix, grammairien de l'époque, estimait ainsi : « Parce que le genre masculin est le plus noble, il prévaut seul contre deux ou plusieurs féminins. » Pour eux, encourager l’écriture inclusive revient à récupérer une règle grammaticale détruite par la supériorité masculine.
De l'autre côté, les opposants soulignent que les défenseurs de l'écriture inclusive sont principalement progressistes, suggérant ainsi une tendance politique. Selon eux, l'écriture inclusive n'est qu'un instrument idéologique pour exprimer une orientation politique. Ils estiment inapproprié de systématiquement afficher une tendance politique dans le discours public ou dans le texte judiciaire. Bien que la langue évolue naturellement avec les changements sociaux, ils considèrent que l’écriture inclusive n'est pas une évolution spontanée, mais plutôt une évolution artificielle imposée par ses partisans. En conclusion, ils insistent sur le fait que la question de l’écriture inclusive détourne l'attention de problèmes plus importants pour réaliser l’égalité des sexes, tels que le plafond de verre, les crimes d'honneur et les punitions pour viol. Ils estiment nécessaire de se concentrer sur ces questions réelles plutôt que sur l’écriture inclusive.
마지막으로, 흥미로운 점은 포괄적 글쓰기에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 모두 서로가 지지하는 글쓰기 방식이 더 이념적이고 정치적이라고 주장한다는 것이다.
찬성측에서는 남성형이 중성을 대표할 수 있다는 기존의 규칙을 가부장제의 산물로 여긴다. 그 증거로, 그들은 중세시대까지만 해도 (남성형 중심의 성수일치가 아닌) 근접성에 따른 성수일치 규칙을 주로 썼으나, 아카데미 프랑세즈가 출범하면서 18세기에 이러한 규칙이 폐기되었다고 말한다. 당시 문법학자인 Scipion Dupleix는 다음과 같이 평했다 : ‘남성이 가장 고귀한 성이기 때문에 둘 혹은 여럿의 여성형보다 남성형 하나가 우선한다’. 따라서 이들에게 있어 포괄적 글쓰기를 장려하는 것은 남성 우월주의에 의해 파괴된 본래의 문법을 되찾는 일이다.
반면, 반대측에서는 포괄적 글쓰기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진보주의자들이며, 따라서 그것이 정치적 편향성을 은연 중에 드러낸다고 말한다. 포괄적 글쓰기야말로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이데올로기적 도구라는 것이다. 이들은 공적 담화 또는 법률적 문서에서 항상 편향성을 드러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주장한다. 물론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언어가 발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이들에게 있어 포괄적 글쓰기는 (언어의) 자연적 진화가 아니라 그것을 지지하는 사람들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진화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포괄적 글쓰기가 유리천장, 명예살인, 성폭행에 대한 처벌 등 성평등을 위해 해결해야 할 더 중요한 문제들을 외면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질적 문제들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universalité 보편성
- dyslexie 난독증
- illettrisme 문맹
- ponctuation 구두점, 구두법
- abréviation 약어
- malvoyant 시력이 약한 사람
- patriarcat 가부장제
- progressiste 진보주의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