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31호 : l'écriture inclusive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31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오늘은 (제 기준) 아주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바로 '포괄적 글쓰기(écriture inclusive)'인데요, 한국어로는 '성중립 언어'에 대한 논의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이번 레터와 다음 레터에서는 이 주제에 대해 다뤄 보려고 합니다.
이 주제에 대해 이해하려면 프랑스어의 문법적 특성에 대해 먼저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프랑스어는 기본적으로 명사에 성(性)이 정해져 있습니다. 책은 남성 명사, 탁자는 여성 명사와 같은 식입니다. 하지만 직업 명사의 경우 남성형과 여성형이 모두 있는데요, 남성형이 기본형이고, 여성형은 남성형에서 어미를 바꾸어 줍니다. 본문에서도 소개될 예시를 들자면, étudiant(학생)이라는 단어는 기본적으로 남학생을 가리키고, 여학생을 가리킬 때는 여성형 어미 'e'를 붙여 'étudiante(여학생)'로 씁니다. 그리고 복수형은 복수형 어미 's'를 붙여 'étudiants(학생들)', 여성 복수형은 여성형에 s를 붙여 'étudiantes'로 쓰는 거죠. 만약 남학생과 여학생이 섞여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 때는 남성 복수형 étudiants로 써야 합니다. 여학생이 백 명이 있고 그 사이에 남학생 한 명이 끼어 있더라도 그 학생들은 남성 복수형이 됩니다. 이런 프랑스어의 문법적 특성에 대해 성차별적이라는 반론이 제기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나온 것이 '포괄적 글쓰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로 얼마 전 차별적 언어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죠. 유튜브 예능 '핑계고'에서 출연자가 말한 '유모차'라는 단어를 '유아차'라고 순화한 자막에 대해 과하다는 지적이 있었던 건데요, 우리나라와 프랑스를 비롯해 여러 나라들에서 차별적 언어 사용을 지양하고 성중립적 언어를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는 듯합니다.
사실 저는 언어를 배우는 입장에서 남성, 여성으로 구분되어 있는 문법이 꽤 경제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로 '학생'이라고만 하면 남학생인지 여학생인지 모르지만, 프랑스어에서는 어미만 보면 굳이 부연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성별을 알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런 요소들이 프랑스어로 된 글을 매력적이고 재미있게 만들어주는 부분도 분명히 있고요. 하지만 언어가 세상을 보고 사고를 구성하는 틀인 만큼, 성차별적인 요소를 없애자는 주장도 이해가 갑니다.
|
|
|
Le Sénat a adopté une proposition de loi interdisant « l’écriture inclusive »
상원에서 ‘포괄적 글쓰기’ 금지 법안 채택
Le 30 octobre, le Sénat a adopté une proposition de loi interdisant « l'écriture inclusive » dans divers documents juridiques, tels que les actes juridiques, les règlements intérieurs d'entreprises, les contrats de travail et les modes d'emploi. Cette décision a accentué les divisions entre la droite et la gauche. Marine Le Pen a laissé un message sur X, affirmant que cette pratique de l'écriture n'est qu'une grotesque manifestation du wokisme et qu'elle veut protéger la langue française. Yan Chantrel, le sénateur socialiste, a affirmé que ce texte est rétrograde et constitue l'une des attaques du camp conservateur contre l'égalité des sexes.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et l’Académie française, institution la plus ancienne et la plus prestigieuse de défense de la langue française, sont tous contre ce texte. « Il faut permettre à cette langue française de vivre (…) mais en garder aussi les fondements, les socles de sa grammaire, la force de sa syntaxe, et ne pas céder aux airs du temps. (…) Dans cette langue, le masculin fait le neutre, on n’a pas besoin d’ajouter des points au milieu des mots, ou des tirets, ou des choses pour la rendre lisible. » a affirmé Emmanuel Macron. L’Académie française a décrit cette situation comme « un péril mortel » auquel la langue française est confrontée.
10월 30일, 프랑스 상원은 몇 가지 법률 문서에서 ‘포괄적 글쓰기’를 금지하는 법안을 채택했다. 법률 문서, 회사 내규, 근로 계약서, 매뉴얼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는 우파와 좌파 간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마린 르펜(우파)은 X에 포괄적 글쓰기는 기괴한 워키즘 시위의 일종에 불과하며, 프랑스어를 지키고 싶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사회당의 상원 의원인 Yan Chantrel(좌파)은 이 법안이 시대 착오적이며 성평등에 반대하는 보수 진영의 공격이라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과 아카데미 프랑세즈- 프랑스어를 수호하는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기관 -는 모두 이 법안에 반대한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어는 살아있는 언어지만, 언어의 근간과 문법의 기초, 통사의 힘을 지켜야 한다. 시류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 (…) 프랑스어에서는 남성형이 중성을 나타낸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점이나 연결 부호 등 다른 무언가를 덧붙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현재 프랑스어가 맞닥뜨린 이 상황을 ‘치명적인 위험’이라고 표현했다. |
|
|
L’écriture inclusive, qu’est-ce que c’est ?
포괄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Alors, qu'est-ce que l'écriture inclusive ? Il s'agit d'une nouvelle forme d'écriture visant à inclure tous les genres pour éviter les expressions sexistes. Selon ses partisans, la grammaire française est sexiste, car les noms sont divisés en masculin et féminin, et les adjectifs s'accordent en genre et en nombre avec les noms. Le problème se pose lorsque l'on utilise des mots au pluriel. Par exemple, si un groupe est composé de plusieurs femmes et d'un seul homme, on le considère comme étant au « masculin ». Par conséquent, s'il y a dix étudiants, dont neuf sont des filles et un est un garçon, on écrit ce groupe comme « étudiants ». On peut écrire « étudiantes » uniquement s'il n'y a que des filles.
그렇다면 포괄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프랑스어의 성차별적 표현들을 지양하고 모든 성별을 망라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이다.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에 따르면 프랑스어는 성차별적인 문법을 가진 언어다. 기본적으로 명사는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나뉘고, 형용사는 명사의 성수(성-남성, 여성-과 수-단수, 복수-)에 일치한다. 문제는 명사가 복수형일 때 발생한다. 어떤 그룹에 여러 명의 여성과 단 한 명의 남성이 있을 경우, 해당 그룹은 남성 복수형으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명의 학생이 있고 그 중 9명이 여학생, 1명이 남학생이라면 이 학생 집단은 ‘étudiants(‘학생’이라는 단어(étudiant)의 남성 복수형)’으로 표시된다. 오로지 여학생들로 구성된 집단일 경우에만 우리는 ‘étudiantes’라는 여성 복수형 명사를 쓸 수 있다.
|
|
|
Plusieurs techniques de l’écriture inclusive
포괄적 글쓰기의 몇 가지 방식
Comme l'Académie française n'accepte pas cette forme d'écriture, il n'existe aucune règle claire pour écrire de manière « inclusive ». Cela dépend du choix de chaque écrivain, et il existe plusieurs techniques, en voici quelques-unes.
En premier lieu, on peut utiliser le point médian. C'est la méthode la plus courante dans l'écriture inclusive. Elle consiste à insérer un point médian dans le mot pour désigner à la fois la forme masculine et féminine. Par exemple, on écrit « étudiant·e » pour signifier à la fois « étudiant » et « étudiante ». On peut également utiliser le trait d'union (-) ou la parenthèse à la place du point médian.
En deuxième lieu, on peut neutraliser le genre du mot. Par exemple, on écrit « iel(s) » en contractant « il(s) » et « elle(s) » ou « celleux » en contractant « celles » et « ceux ». On applique cette pratique lorsque l'on ne souhaite pas spécifier le genre d'une personne, lorsque la personne ne se distingue pas strictement par son sexe (masculin ou féminin), et qu'il s'agit d'un groupe mixte.
En dernier lieu, on peut accorder en se basant sur la proximité. Comme mentionné précédemment, en français, les adjectifs et les participes passés s'accordent en genre selon les noms qu'ils qualifient. Cette règle propose d'accorder le genre du terme avec le mot le plus proche au lieu d'accorder systématiquement au masculin lorsque des mots masculins et féminins sont présents. Par exemple, dans la phrase « les étudiants et les étudiantes sont contentes », on accorde « contentes » en fonction du mot « étudiantes », qui est le plus proche.
아카데미 프랑세즈[1]에서 포괄적 글쓰기를 받아들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포괄적 글쓰기에 있어서 명확하게 정해진 규칙은 없으며, 글쓴이에 따라 표기가 조금씩 달라진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를 소개한다.
먼저, 중간점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포괄적 글쓰기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방법이다. 남성형과 여성형을 동시에 지칭하기 위해 단어 내에 중간점을 삽입하는 것이다. 예컨대 ‘남학생(étudiant)’과 ‘여학생(étudiante)을 가리키기 위해 ‘étudiant·e’로 쓰는 것이다. 중간점 대신 연결 부호(-)나 괄호를 쓸 수도 있다.
두 번째로, 단어의 성(性)을 중성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il)’와 ‘그녀(elle)’를 축약하여 ‘iel’로 쓰거나, ‘그녀들(celles)’과 ‘그들(ceux)’를 축약하여 ‘celleux’로 쓰는 것이다. 이 방식은 글쓴이가 누군가의 성별을 굳이 명시하고 싶지 않을 때, 당사자가 스스로를 남성/여성의 성별에 따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을 때, 그리고 혼성 집단에 대해 쓸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근접성에 따른 (성수)일치가 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프랑스어에서는 형용사나 과거분사를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의 성수에 일치한다. 이 근접성의 규칙은 남성형과 여성형에 동시에 일치해야 할 때, 항상 남성 복수형으로 통일해서 일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 가까운 명사의 성에 일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les étudiants et les étudiantes sont contentes. (남학생들과 여학생들은 모두 만족했다)’ 라는 문장을 보면, ‘content’이라는 형용사에 위치상 더 가까운 ‘étudiantes(여학생들)’에 성수일치하여 ‘contentes (content의 여성 복수형)’으로 썼다[2].
[1]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기관들 중 하나로, 프랑스어를 수호하고 프랑스어의 규칙을 정하는 일을 한다. 사전을 편찬하거나 철자법이나 언어 사용의 트렌드에 대한 의견을 발표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국립 국어원과 유사한 기관으로 볼 수 있다.
[2] 원래 프랑스어 문법대로라면, 혼성 복수는 남성 복수로 취급하므로 ‘남학생들’에 성수일치하여 ‘contents (‘content 만족한’의 남성 복수형)’으로 써야 한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écriture inclusive 포괄적 글쓰기
- rétrograde 역행하는, 후퇴하는
- égalité des sexes 성평등
- neutre 중성(의)
- genre [언어] 성(性)
- sexiste 성차별주의의, 성차별주의자
- s’accorder (성수)일치하다
- proximité 근접성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