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29호 : Où est la véritable liberté des femmes ?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29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연휴는 잘 보내셨나요? 연휴가 있어서 그런지 10월은 유독 빨리 지나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날씨가 많이 쌀쌀해졌는데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라요 :)
지난 28호에서는 교내 아바야 착용 금지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내년에 개최되는 파리 올림픽에 대해서도 비슷한 논란이 있는데요, 프랑스 국가대표팀 선수들에게 히잡 착용이 금지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란의 상황은 정반대입니다.
오늘 레터에서는 프랑스와 이란의 여성 (무슬림) 선수들의 상황이 어떻게 다른지, 여성의 진정한 자유는 무엇일지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재미있게 읽어 주세요!
늘 고맙습니다.
|
|
|
La France a interdit le port du voile aux délégations françaises aux Jeux olympiques de Paris 2024
파리 올림픽에서 프랑스 대표팀 히잡 착용 금지
Le 24 septembre, Amélie Oudéa-Castéra, la ministre française des Sports, a annoncé l'interdiction du voile pour les athlètes français participant aux Jeux olympiques de Paris 2024. Elle a expliqué que cela visait à prévenir tout prosélytisme et à maintenir la neutralité absolue du service public au nom de la laïcité. Cette mesure ne concerne que les délégations françaises et n'affecte pas celles des autres pays participant aux Jeux olympiques de Paris.
À propos de cette mesure, la Fédération sportive de solidarité islamique (ISSF) a répondu que le voile est « un aspect de l'identité de nombreuses femmes musulmanes » et doit « être respecté ». De plus, elle craint que cela puisse empêcher certaines athlètes musulmanes françaises de participer aux Jeux olympiques. En effet, en janvier, Salimata Sylla, une basketteuse, a été exclue d'une compétition en raison de son voile.
Deux jours après cette annonce de la France, l'ONU a exprimé son opposition en déclarant que « personne ne devrait imposer à une femme ce qu'elle doit porter ou non » conformément aux principes du Haut-Commissariat aux droits de l'homme. L'ISSF a également indiqué. : « Les Jeux olympiques ont toujours célébré la diversité, l’unité et l’excellence athlétique. En interdisant le port du hijab à ses athlètes, un pays hôte enverrait un message d’exclusion, d’intolérance et de discrimination qui va à l’encontre de l’esprit olympique. »
9월 24일, 프랑스 체육부 장관 Amélie Oudéa-Castéra는 24년 파리 올림픽에서 프랑스 선수들의 히잡 착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라이시테 원칙에 따라 모든 선전 활동을 방지하고 공적인 영역에서의 엄중한 중립성을 지키기 위함이라고 장관은 말했다. 이러한 조치는 프랑스 국가대표팀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이며, 파리 올림픽에 참가하는 다른 나라의 대표팀들에게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이슬람 연대 스포츠 연맹(ISSF)은 많은 무슬림 여성들에게 있어서 히잡은 정체성의 한 측면이며, 존중받아야 한다고 반박했으며, 이 규정이 몇몇 프랑스 무슬림 여성 선수들이 올림픽에 참가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실제로 올해 1월, Salimata Sylla라는 여성 농구선수가 착용하고 있던 히잡 때문에 경기에서 배제된 바 있다.
프랑스가 이렇게 선언하고 이틀 후, UN에서는 UN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의 원칙에 따르면 ‘누구도 여성에게 무엇을 입어야 하고 무엇을 입지 말아야 할지 강요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ISSF 역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올림픽은 언제나 다양성, 화합, 선수들의 탁월함의 장이었다. 주최국이 자국의 대표 선수들에게 히잡 착용을 금지한다면, 이는 올림픽 정신에 반하는, 배척과 불관용과 차별의 메시지를 전하게 되는 것이다.’ |
|
|
Les joueuses iraniennes dévoilées 히잡을 벗는 이란의 여성 선수들
En France, l'interdiction du port du voile a suscité une vive polémique. Cependant, la situation est inversée en Iran, où les joueuses ont été exclues puis sont devenues représentantes dans d'autres pays après avoir refusé de porter le voile en compétition.
Par exemple, Mitra Hejazipour, joueuse d'échecs, a obtenu la nationalité française en mars dernier, devenant championne de France en seulement six mois après sa naturalisation. En 2019, lors du Championnat du monde d'échecs en Russie, elle a refusé de porter le hijab lors de la compétition, ce qui l'a conduite à être exclue de la sélection nationale, en désaccord avec les dirigeants iraniens.
Elle n'est pas la seule à avoir quitté son pays en raison des contraintes vestimentaires imposées par le régime. Dorsa Derakhshani s'est installée aux États-Unis en 2017, et Sara Khadem a fait de même en Espagne en janvier. Toutes deux ont pris cette décision par crainte de représailles en Iran après avoir participé à des compétitions sans voile.
프랑스에서는 히잡 착용 금지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이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정반대다. 여성 선수들이 경기에서 히잡을 쓰는 것을 거부했다가 출전을 금지당하고, 망명하여 다른 나라에서 국가 대표로 뛰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체스 선수 Mitra Hejazipour(미트라 헤자지푸르)는 지난 3월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고, 귀화 후 6개월 만에 프랑스 챔피언이 되었다. 2019년 그녀는 러시아에서 열린 체스 챔피언십에서 경기 중에 히잡을 착용할 것을 거부했고, 이 일로 이란 정부의 눈 밖에 나게 되어 국가 대표 선발전에서 제외되었다.
이외에도 국가의 복장 제한 때문에 고국을 떠난 선수들이 있다. Dorsa Derakhshani(도르사 데라크샤니)는 2017년 미국으로, Sara Khadem(사라 카뎀)은 올 1월 스페인으로 이주했다. 두 선수 모두 히잡을 착용하지 않고 경기에 참가했다가 고국의 보복이 두려워 이민을 결정했다[1].
[1] 사라 카뎀은 22년 12월, 카자흐스탄에서 열린 체스 대회에 히잡을 쓰지 않고 출전했다가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다. 그녀는 경기가 끝난 직후 고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곧바로 스페인으로 망명했다. 사라가 히잡을 착용하지 않은 이유는 각주(2)의 이란 반정부 시위를 지지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22년 10월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 엘나즈 레카비도 서울에서 열린 대회에 히잡을 쓰지 않고 출전했다. 이후 그녀의 가족들이 살던 집은 철거되었다.
|
|
|
L’ambivalence des musulmanes : la vraie liberté des femmes ? 이슬람 여성들의 두 가지 모습 : 여성의 진정한 자유란 무엇인가?
Alors, pourquoi les musulmanes iraniennes refusent-elles de porter le voile, tandis que celles en France s'opposent à l'interdiction du voile ? La controverse autour de ce sujet est complexe, et les opinions varient d'un individu à l'autre, mais je vais vous fournir une explication simplifiée.
Les Iraniennes n'ont pas toujours porté le voile tout au long du 20ème siècle. En 1936, sous la dynastie Pahlavi, des politiques pro-occidentales ont été mises en place, interdisant le port du voile dans le cadre d'une tentative de supprimer les traditions et d'adopter la culture occidentale. Cependant, les femmes ont résisté à cette interdiction en continuant de porter le voile. Par la suite, après la Révolution iranienne et le renversement de la dynastie Pahlavi, le port du voile a été rendu obligatoire, ce qui a de nouveau provoqué une résistance de la part des femmes.
Cette histoire iranienne montre que la contestation des Iraniennes concerne davantage le régime autoritaire qui tente de limiter leur liberté individuelle que le voile lui-même. Cela s'applique également aux musulmans français. Pour certaines musulmanes progressives et le monde occidental, y compris la France, le voile est perçu comme un symbole de l'oppression envers les femmes, tandis que pour certains musulmans conservateurs, il est le symbole de leur croyance et un moyen de résister au colonialisme occidental. Les réactions à l'interdiction du port du voile en France sont motivées par la volonté de préserver leur culte et de résister à toute tentative d'imposer les valeurs françaises à l'islam, une religion universelle.
Valérie Toranian a écrit dans son éditorial que le voile serait le symbole « qui dit que la femme est un être impur, tentateur et inférieur » et qu'il faudrait lutter contre les salafistes pour la libération et l'égalité totale des femmes. D'un autre côté, Louis Boyard, le député de la Nupes, a estimé que l'Iran, qui oblige les femmes à porter le voile, et Eric Zemmour, qui tente d'interdire le voile en France, sont tous deux des ennemis de la liberté des femmes.
Quelle est la véritable libération et la véritable liberté des femmes pour vous ?
그렇다면 왜 이란의 무슬림 여성들은 히잡 착용을 거부하고, 프랑스의 무슬림들은 히잡 착용 금지에 반대하는가? 이에 대한 논란은 복잡 다단하며 개인에 따라 그 의견도 다르지만, 개괄적으로 설명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이란의 여성들이 20세기 내내 히잡을 썼던 것은 아니다. 1936년 이란의 팔레비 왕조는 친서구 정책을 폈으며, 전통 관습을 없애고 서구의 문물을 정착시키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히잡 착용을 금지했다. 여성들은 이에 저항하며 히잡을 계속 착용했다. 그리고 이란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몰락하고 이슬람 공화국이 들어서자 히잡 착용은 의무가 되었고, 여성들은 이제 히잡 착용을 거부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를 통해 우리는 이란 여성들의 시위가 히잡 자체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박탈하려는 독재 정부[2]를 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프랑스 무슬림들의 저항도 마찬가지다.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세계와 진보적인 무슬림 여성들에게 있어 히잡은 여성 억압의 상징이지만, 한편으로 보수적인 무슬림들에게 히잡은 신앙의 상징이자, 서구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 히잡 착용을 금지하는 것에 무슬림들이 반발하는 것 역시 종교적 신념을 지키려는 이유도 있지만, (단일 국가인) 프랑스의 가치를 보편 종교인 이슬람에게 강제하려는 것에 대한 반발도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Valérie Toranian은 자신의 사설에서 히잡은 ‘여성이 불순하고, 유혹적이고, 열등한 존재라는 상징’이며, 여성이 완전한 해방과 평등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 근본주의와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Nupes의 의원 Louis Boyard는 히잡 착용을 의무화하는 이란과, 프랑스에서 히잡 착용을 완전히 금지하려는 에릭 제무르를 비교하면서 둘 모두 여성의 자유에 있어서는 적이라고 평했다.
당신이 생각하는 여성의 진정한 자유와 해방은 무엇인가?
[2] 분량상 다루지는 못했지만, 현재 이란에서는 반정부 시위가 진행 중이다. 2022년 9월 16일, 마흐사 아미니라는 소녀가 히잡 착용 규정을 위반했다며 체포되었고 체포 후 사흘만에 의문사했다. 이를 시발점으로 이란 여성들은 ‘여성, 삶, 자유’를 슬로건으로 진상을 촉구하는 반정부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정부는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해 논란이 되고 있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délégation 대표단
- exclusion 제외, 배제
* exclu 제명된, 제외된
- échecs 체스
- naturalisation 귀화
- régime autoritaire 독재 정권
- salafiste 살라피즘 추종자, 이슬람 근본주의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