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17호 : Le 49.3 sur la réforme des retraites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17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다시 돌아온 연금 개혁입니다. 지겨우실 수도 있지만, 중요한 뉴스라 다루지 않을 수가 없었네요 ㅎㅎ
마크롱 정부는 지난 3월, 헌법 49조 3항을 이용하여 국회에서의 투표 없이 연금 개혁안을 통과시켰는데요. 바로 지난 주 금요일인 4월 14일, 헌법 위원회에서도 개혁안의 대부분의 조항들을 합헌이라고 발표하면서 연금 개혁의 시행이 기정사실화 되었습니다. 법적 절차는 모두 통과했지만 좌파와 극우 등 야당에서는 계속해서 연금 개혁에 반대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는데요, 과연 연금 개혁의 운명은 어떻게 될지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
|
|
Le passage en force de la réforme 개혁안의 날치기 통과
Jeudi 16 mars, l’exécutif français a finalement décidé de faire passer la réforme des retraites en ayant recours à l'article 49.3. Quand le Premier ministre l’utilise, le projet de loi peut être adopté sans vote à l’Assemblée nationale. Seulement si une motion de censure est déposée dans les 24 heures et qu’elle est adoptée, le projet de loi sera annulé et le Cabinet devra démissionner. Marine Le Pen, la présidente du Rassemblement national (RN), a immédiatement annoncé qu’elle déposerait une motion de censure.
Lundi 20 mars, les deux motions de censure ont été rejetées à l’Assemblée nationale. La première a été déposée par le Liot, elle n’a manqué que 9 voix en récoltant 278 voix sur 287 nécessaires pour être adoptée. La deuxième, déposée par le RN, n’a pas été adoptée non plus, en recueillant seulement 94 voix. Puisque toutes les motions de censure n’ont pas été adoptées, le projet sur la réforme des retraites est donc considéré comme adopté définitivement.
Depuis 2022, Elisabeth Borne a eu recours au 49.3 pour 11 fois jusqu’à maintenant. Depuis 1958, elle est la deuxième Premier ministre française à avoir l’utilisé le plus souvent. C’est Michel Rocard qui l’a utilisé le plus. En effet, il l’a déclenché à 28 reprises, tandis que les autres Premiers ministres l'ont utilisé huit fois ou moins.
3월 16일 목요일, 프랑스 행정부는 마침내 헌법 49조 3항을 이용하여 연금 개혁안을 통과시키기로 결정하였다. 총리가 이 조항을 발동시키면, 법안은 국회의 투표 없이도 가결될 수 있다. 단, 만약 24시간 내로 불신임안이 제출되고 그것이 가결된다면 법안은 취소되고 내각은 총사퇴해야 한다. 국민 연합의 대표인 마린 르펜은 즉시 불신임안을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3월 20일 월요일, 두 건의 불신임안이 국회에서 부결되었다. 첫 번째 불신임안은 Liot (Le groupe Libertés, indépendants, outre-mer et territoires 자유·무소속·해외영토 그룹)이 발의한 것으로, 통과되기 위해 필요한 287표 중 278표를 얻어, 단 9표가 모자랐다. 국민 연합이 발의한 두 번째 불신임안 역시 94표를 얻는 데 그쳐 통과되지 못했다. 모든 불신임안이 부결되었기 때문에, 연금 개혁안은 완전히 통과된 것으로 간주되게 되었다.
2022년부터 지금까지, 엘리자베스 보른 총리는 헌법 49조 3항을 총 11번 사용했다. 그녀는 1958년 이래로 프랑스에서 이를 2번째로 많이 사용한 총리이다. 가장 많이 이를 이용한 사람은 28번 사용했던 Michel Rocard이며, 다른 총리들은 모두 8번 이하로 이용했다. |
|
|
L’interview télévisé du président et la colère populaire qui monte 대통령의 TV 인터뷰와 더 커진 민중의 분노
Mercredi 22 mars, dans une interview avec TF1 et France2, le chef de l’État a dit que la réforme ne lui fait pas plaisir non plus, et il l’a propulsée au détriment de sa popularité, parce que c’est nécessaire pour le pays et l’intérêt général. Selon lui, le nombre des retraités augmente de plus en plus, alors que le système actuel de retraite est déficitaire, et il n’y a pas d’alternative sauf la réforme. Il a ajouté aussi que la foule n’a pas de légitimité en faisant allusion à l’invasion du Capitole* aux États-Unis, qui a eu lieu en janvier 2021, et qu’on respecte et on écoute, mais on ne peut pas accepter « les factieux ».
Ce discours a été le détonateur de la colère du peuple. Olivier Faure, le chef du PS a dit que le président a décrit son peuple « comme des paresseux drogués aux aides publiques », et que « il a mis plus d’explosif sur un brasier déjà bien allumé ».
3월 22일 수요일, TF1과 France2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개혁을 하는 것이 그에게도 즐거운 일이 아니며, 그것이 나라와 공익을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질 것을 각오하고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퇴직자들의 수는 점점 더 증가하는 반면 연금은 적자라며 개혁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시위를) 2021년 1월에 있었던 미국 국회의사당 폭동*에 비유하며 군중들은 정당성이 없으며, (국민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지만 ‘반동분자들’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이 말이 국민들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사회당 대표인 Olivier Faure는 대통령이 국민을 ‘공공부조에 중독된 게으름뱅이들’로 묘사했다며, 이미 활활 타오르고 있는 불에 기름을 들이 부은 격이라고 말했다.
*2021년 1월 6일, 트럼프 지지자들이 대통령 선거의 부정 선거 음모론을 주장하며 국회 의사당을 무력 점거했다가 진압된 사건
|
|
|
La manifestation qui s’aggrave : la crise démocratique ? 격화되는 시위: 민주주의의 위기 ?
Au lendemain de l’interview du président, la neuvième mobilisation s’est déroulée. Le 28 mars, la dixième. Cette journée-ci, il y avait plus de 2 millions de manifestants dans tout le pays selon la CGT, alors que le gouvernement en a dénombré 740 000. À cause des manifestations et des grèves, le service des transports en commun s’est partiellement arrêté : Seulement 60% des TGV, 50% des TER ont circulé. Les sites touristiques, y compris la Tour Eiffel, le musée du Louvre, le château de Versailles et l’Arc de Triomphe sont fermés.
Pour les Français, le système de retraites est l’une des parties très importantes de Sécurité Sociale, qui assure le dernier temps de la vie aisé dans une certaine mesure. Ils veulent être remboursés après la retraite autant qu’ils ont contribué à la société dans leur jeunesse. Les citoyens sont furieux que le président ait fait passer une loi qui est très importante pour leur vie sans vote, et qu’il ait parlé des manifestations comme révolte ou coup d’État, qu’il les ait traités avec violence. Ils dénoncent le gouvernement qui menace la démocratie.
대통령의 TV 인터뷰 다음 날, 9번째 시위가 있었고, 3월 28일에는 10번째 시위가 일어났다. 10번째 시위에는 노동총동맹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2백만 명의 시위자가 참여했으나 정부는 시위자의 수를 74만 명이라고 (축소하여) 추산했다. 시위와 파업으로 인해 대중교통의 운행도 일부 중단되었다 : 에펠탑, 루브르 박물관, 베르사유 궁전, 개선문 등 관광 명소들도 문을 닫았다.
프랑스인들에게 있어 연금 제도는 인생의 마지막 시기를 어느 정도 풍족하게 보낼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사회 보장 시스템의 매우 중요한 부분들 중 하나이다. 그들은 젊은 시절 그들이 사회에 기여한 만큼 보상 받기를 원한다. 국민들은 대통령이 그들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법을 투표도 없이 통과시킨 것, 시위를 폭동과 쿠데타로 폄하하고 폭력으로 진압한 것에 대해 분노하고 있다. 그들은 정부가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고 규탄한다.
|
|
|
La décision du Conseil constitutionnel 헌법 위원회의 결정
Le 14 avril, le Conseil constitutionnel a rendu sa décision sur les deux questions : la constitutionnalité de l’adoption du projet de loi avec le recours au 49.3 et la recevabilité de RIP(référendum d’initiative partagée) demandée par la gauche.
Il a validé la plupart des dispositions de la réforme des retraites, y compris le recul de l’âge de retraite jusqu’à 64 ans, mais a retoqué six dispositions comme l’index senior. Il a rejeté aussi la demande de RIP. Cependant, il reste encore la possibilité de l’organisation du référendum pour maintenir l’âge de départ actuel, 62 ans. Les parlementaires de gauche vont suppléer la faiblesse juridique, et déposer de nouveau la demande de RIP, qui va être jugée par les Sages le 3 mai.
4월 14일, 헌법위원회는 두 가지 사안에 대한 결정을 내렸다 : 헌법 49조 3항을 이용하여 통과된 법안의 합헌성 여부와 좌파에서 요청한 국민 투표의 수리 가능성이다.
헌법 위원회는 64세까지 정년을 늘리는 것을 포함해, 연금 개혁안의 대부분의 조항들을 합헌이라고 결정했으나 시니어 지수 등 6개 조항은 기각했다. 헌법 위원회는 또한 국민 투표 실시 요청도 기각했다. 그러나 현행 정년인 62세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국민 투표의 실시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좌파 의원들은 법적인 허점들을 보완하여 국민 투표를 재요청할 것이며, 헌법 위원회는 5월 3일에 이에 대한 판결을 내릴 것이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motion de censure 불신임안
: 의원내각제에서 국회가 내각이나 국무위원을 총사퇴시킬 것을 결의한 안건
- cabinet 내각, 정부
- adopter 가결하다 ↔ rejeter 부결하다
- Conseil constitutionnel 헌법위원회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와 유사)
- RIP (référendum d’initiative partagée) 국민 투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