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liberté d’expression 표현의 자유
En France, la liberté est une valeur très importante, peut-être avant toute chose. Lors du procès contre Charlie Hebdo en 2007, intenté par les musulmans à cause de la publication de caricatures de Muhammad, Elisabeth Badinter, philosophe française a dit : « Si on recule un peu, sous prétexte de bienséance, de ne pas blesser, et cetera, c’en est fini de la liberté d’expression. Ça veut dire c’est fini, la démocratie. »
Après l’attentat contre Charlie Hebdo en 2015, il y a eu une vague de manifestations qui défend la liberté d’expression. Quatre millions de personnes ont protesté en brandissant les stylos et crayons.
Dans la même année, lorsqu’il y a eu une controverse sur la caricature du petit réfugié, Gérard Biard, le gérant du journal, a défendu en disant : « Ces dessins sont satiriques, et la satire doit provoquer un choc. S’il ne provoque pas de choc, il ne s’agit pas d’un bon dessin. »
Cependant, beaucoup de Français, y compris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comprennent bien qu’il doit y avoir le respect à l’égard des autres avec la liberté d’expression.
프랑스에서 자유는 어쩌면 무엇보다도 중요한 가치다. 2007년, 무함마드 만평 게재를 이유로 이슬람교도들이 샤를리 엡도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을 당시 프랑스의 철학자 Elisabeth Badinter는 ‘만약 우리가 점잖음이나 상처주지 않는 것 등을 핑계로 조금이라도 물러선다면, 표현의 자유는 끝이다. 이는 민주주의의 끝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2015년 샤를리 엡도를 향했던 테러 이후에는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400만 명의 사람들이 펜과 연필을 흔들며 시위했다.
같은 해에 난민 소년을 그린 만평이 논란이 되었을 때, 샤를리 엡도의 편집장인 Gérard Biard는 ‘이 그림들은 풍자적이고, 풍자는 충격적이어야 한다. 만약 충격적이지 않다면, 그것은 좋은 그림이 아니다.’ 라고 말하며 변론했다.
그러나 대통령*을 포함하여 많은 프랑스인들은, 표현의 자유와 함께 타인에 대한 존중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는 신성 모독을 할 자유가 있고(lla liberté de blasphémer) 종교를 풍자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동시에 타인을 존중하고 혐오 발언을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해 상기시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