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14호 : La réforme des retraites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14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벌써 3월이네요. 날이 많이 따뜻해졌어요. 어서 봄이 오면 좋겠습니다 ㅎㅎ
오늘 함께 볼 내용은 3개 호에 걸쳐 다룬 연금 개혁의 마지막 파트입니다. 12호에서는 프랑스의 현행 연금 제도를, 13호에서는 연금 개혁의 세부 사항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 14호에서는 왜 프랑스인들이 이토록 연금 개혁에 거세게 반대하는지에 대해 써 보았습니다.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면 개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연금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 큰데, 왜 프랑스에서는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 시위에 파업까지 일어나는 것일까요?
사람마다 반대하는 이유는 가지각색이고 직종별, 연령대별로 그 근거도 다양하겠지만 밀푀유에서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이야기하는 근거 두 가지를 가져왔습니다.
|
|
|
Pourquoi les Français sont-ils contre la réforme ?
프랑스인들은 왜 연금개혁에 반대하는가?
Le gouvernement pense que, si l’on veut maintenir la Sécurité sociale actuelle, il est indispensable de travailler plus longtemps. Et puis, les Français le savent aussi. OpinionWay a mené un sondage auprès de 1 009 personnes, dont 61% ont répondu qu’une réforme des retraites est « nécessaire ». Mais même après la présentation des détails de réforme des retraites, la majorité des Français y restent toujours opposés.
Ce sont les deux principales mesures qu’ils désavouent : le décalage de l’âge légal de départ et l’allongement de la durée de cotisation. En fait, les autres mesures ne suscitent pas des problèmes, voire reçoivent un bon accueil : dans le même sondage, 83% des Français sont favorables au départ progressif à la retraite et 69% sont favorables à la fin des régimes spéciaux. Alors, pourquoi les Français sont-ils contre cette réforme ? À cause de la paresse ? Regardons les arguments des opposants.
정부는 현재의 사회 보장 제도를 유지하길 원한다면 더 오래 일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여기고 있으며, 프랑스인들 또한 이를 알고 있다. OpinionWay는 1,009명을 대상으로 여론 조사를 실시했고, 61%가 연금 개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연금 개혁의 세부 내용 발표 이후에도,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은 여전히 연금 개혁에 반대한다.
국민들이 반대하는 것은 개혁안의 두 가지 주요 사항이다 : 정년 연장과 연금 납부 기간의 연장이다. 사실 다른 정책들은 문제가 되고 있지 않으며, 심지어는 환영받기까지 한다 : 같은 조사에서 점진적 퇴직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83%, 특별 제도 폐지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69%였다. 그렇다면 프랑스인들은 왜 연금 개혁에 반대하는가? 그들이 게을러서인가? 개혁 반대론자들의 근거를 살펴보자. |
|
|
(1) La réforme injuste 불공정한 개혁
Tout d’abord, le plus grand argument pour lequel les Français ne veulent pas le report de l’âge de départ, c’est « l’injustice ». C’est-à-dire que cette réforme aura une influence dépendamment des classes sociales.
Les opposants affirment que même maintenant un quart des travailleurs les plus pauvres meurent avant 62 ans, contre seulement 6% des plus riches. Mais selon le rapport de La Dépêche du Midi, il est bien déformé, puisque le travail de l’INSEE, le texte original, indique que « si vous faites partie des 5% des plus pauvres de votre classe d’âge toute votre vie, vous avez 25% de risques de mourir avant 62 ans. ».
Toutefois, sans parler du taux de mortalité, on ne peut pas nier totalement cette injustice. Comme il est vrai que les pauvres sont plus susceptibles d'avoir des emplois plus dangereux ou plus pénibles et la réforme va les exposer à ce travail plus longtemps, et qu’il est aussi vrai que l’espérance de vie entre les 5% les plus aisés et les 5% les plus pauvres, dont l’écart est de 13 ans auprès des hommes[1]. Et puis, pour les plus aisés, ils ont des héritages à succéder, ils n’ont donc pas très besoin de s’appuyer sur la solidarité sociale, mais ce qui n’est pas le cas pour les plus pauvres. Autrement dit, les plus défavorisés, qui sont plus touchés par la réforme que les favorisés, cotiseront toute leur vie pour subvenir aux retraités, alors qu’ils en profiteront eux-mêmes peu.
Il n'y a pas que les pauvres qui sont désavantagés. Il en va de même pour les femmes. En France, les femmes reçoivent déjà des pensions de droit direct[2] inférieures de 40% à celles des hommes. C’est souvent à cause des salaires inférieurs à ceux des hommes, des carrières hachées par l’accouchement et les soins maternels. Si on allonge la durée de cotisation, les femmes auront plus de difficultés à compléter leur annuité(carrière) pour recevoir une pension à taux plein. Même maintenant, les femmes retraitées avec une carrière complète sont moins de la moitié (49%), contre 75% pour les hommes retraités.
먼저, 프랑스인들이 정년 연장을 원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불공정성이다. 즉 사회적 계층에 따라 해당 개혁이 미칠 영향이 다르다는 것이다. 개혁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지금도 빈곤층의 4분의 1이 62세 이전에 사망하는 데 반해, 부유층에서는 단 6%만이 62세 이전에 사망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La Dépêche du Midi의 보고에 따르면, 이는 어느 정도 왜곡된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주장의 출처인) 프랑스 통계청의 원문에서는 ‘만약 당신이 평생동안 당신의 연령대에서 가장 빈곤한 5%에 속한다면 당신은 62세 이전에 사망할 확률이 25% 더 높다’고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망률은 차치하고서라도, 이러한 (개혁의) 불공정성을 완전히 부인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빈곤층일수록 고위험 직업에 종사할 확률이 높은 것은 사실이며, 개혁은 이러한 일을 더 오래 하게 만들 것이고, 남성의 경우[1] 상위 5%의 부유층과 하위 5%의 빈곤층 사이의 기대 수명은 13년이나 차이가 나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또한 부유층의 경우 물려받을 재산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연대(연금)에 크게 의지할 필요가 없지만, 빈곤층은 그렇지 않다. 다시 말해, 부유층보다 연금 개혁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빈곤층은 평생을 기성 세대를 위해 연금을 납부하지만, 그들 자신은 거의 혜택을 받지 못할 것이다.
불리한 것은 빈곤층뿐만이 아니다. 여성도 마찬가지다. 프랑스에서 이미 여성의 직접 연금[2] 수령액은 남성보다 40% 적다. 이는 대체로 남성보다 적은 급여와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때문이다. 연금 납부 기간을 늘린다면, 여성들은 연금을 100% 수령하기 위한 근속 연수를 채우는 것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지금도 은퇴한 여성들 중 근속 연수를 완전히 채운 사람은 50%가 되지 않는 반면(49%), 은퇴한 남성은 75%가 근속 연수를 채웠다.
[1] 여성의 경우 이 차이는 8년이었다. (출처 : 프랑스 통계청 INSEE)
[2] 이혼한 배우자 연금(pension de conjoint divorcé) 등 다른 누군가에게서 파생된 권리의 연금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권리를 취득하여 지급받는 연금, 자신이 납부한 연금에 대한 권리를 얻어 받는 일반 연금.
|
|
|
(2) La réforme antiécologique 친환경적이지 않은 개혁
Deuxièmement, cette réforme n'a jamais tenu compte de l'environnement. Le 20 janvier, Greenpeace France a laissé un tweet suivant : « Nous soutenons la mobilisation contre la réforme des retraites, un projet totalement en contradiction avec notre vision d’une société moins inégalitaire, plus juste socialement et écologique. »
On a déjà vu l’impact de cette réforme sur le plan de l’égalité, mais quel rapport y a-t-il entre la réforme et l’écologie ? Si les Français travaillent plus longtemps et touchent moins de pension de retraite selon la réforme, cela les poussera à cotiser d’autres régimes qui ne sont pas répartis par l’État, soit les régimes « supplémentaires » par capitalisation, pour compléter les pensions ou partir en préretraite. Ça veut dire que l’épargne retraite au niveau individuel deviendra plus nécessaire si la réforme s’applique. Et ce seront des banques ou des sociétés de gestion d’actifs privées qui manient ce système de retraite par capitalisation, la retraite personnelle.
Ce qui est controversé, c’est que ces gestionnaires d’actifs ne cessent d’investir aux énergies fossiles, et donc aggravent le réchauffement climatique. Par exemple, Blackrock, la plus grande entreprise américaine du monde de gestion d’actifs, est l’un des principaux investisseurs au pétrole. Elle a accumulé plus de 87 milliards de dollars d’actions dans les énergies fossiles. De plus, selon le Guardian, entre 2015 et 2019, elle s’est abstenue ou opposée à 82% des résolutions sur le climat des entreprises dont elle détient des actions. Au-delà de Blackrock, il y a quelques géants de gestion d’actifs qui guettent le marché de l'épargne retraite en France, mais les organisations écologiques restent méfiantes à l’égard de ces entreprises.
두 번째로, 이 개혁은 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1월 20일에 그린피스 프랑스는 다음과 같은 트윗을 남겼다 : '우리는 연금 개혁 반대 시위를 지지합니다. 연금 개혁은 사회적으로 더 평등하고 더 공정한, 그리고 친환경적인 사회를 위한 우리의 비전에 완전히 반하는 계획입니다'
우리는 이미 평등의 관점에서 해당 개혁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개혁과 환경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만약 프랑스인들이 개혁에 따라 더 일하고 연금은 덜 받게 된다면, 사람들은 조기퇴직을 위해, 혹은 부족한 연금을 충당하기 위해, 국가에 의해 분배되지 않는(부과식으로 운영되지 않는) 다른 제도들, 즉 적립식으로 운영되는 추가 제도들에 연금을 납부하게 될 것이다. 개혁이 시행된다면 개별적인 연금 저축이 더욱 필요해질 것이라는 말이다. 그리고 이 개별적인 적립식 연금 제도를 운용하는 것은 은행이나 민간 자산 운용사들이 될 것이다.
논란이 되는 것은, 이러한 자산 운용사들이 화석 연료에 계속해서 투자하면서 지구 온난화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인 미국의 블랙록은 주요 석유 투자사들 중 하나다. 블랙록은 화석 연료와 관련된 주식을 870억 달러 이상 가지고 있다(*2020년 기준). 게다가 가디언지에 따르면, 2015년에서 2019년 사이에 블랙록은 자신이 주식을 가지고 있는 회사들의 기후에 대한 결의안(기후 변화에 대처하려는 결의안)의 82%에 반대하거나 기권했다. 블랙록 외에도 프랑스의 연금 시장을 노리고 있는 거대 자산 관리사들이 있지만, 환경 단체들의 눈에는 그들 모두가 미덥지 못하다.
|
|
|
✍️ 이것만은 꼭! - 연금과 관련된 표현 (3)
- Sécurité sociale 사회 보장 제도
- espérance de vie 기대 수명
- gestion d’actifs 자산 관리
- épargne retraite 연금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