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ervation du système de retraite français actuel
프랑스의 현행 연금 제도 파헤치기
Si l'on veut saisir quelles réformes le président dessine, il faut d'abord regarder comment le système de retraite français actuel fonctionne. Ce système de retraite français en vigueur s’appuie essentiellement sur les deux principes : la solidarité intergénérationnelle et la solidarité fondée sur des critères socioprofessionnels.
Chaque travailleur verse des cotisations à différentes caisses de retraite selon leur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Par exemple, il existe séparément des caisses de retraite des salariés, des fonctionnaires, et des travailleurs non-salariés y compris les professions libérales, les artistes ou les auteurs*[1]. La France compte donc 42 caisses(régimes) de retraite au total. Et bien sûr, l’âge de la retraite, le montant de la pension et la situation financière varient d’une catégorie à l’autre, c’est-à-dire d’une caisse de retraite. Par exemple, on prend sa retraite à l’âge de 62 ans en général pour les emplois sédentaires, mais ceux qui s’occupent de catégorie active ou de catégorie super active – contrôleur aérien, surveillant pénitentiaire, etc. – peuvent partir en retraite même entre 55 ans et 57 ans – même si ça dépend de l’année de naissance -.
마크롱이 어떤 개혁을 하고자 하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프랑스의 현행 연금 제도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부터 볼 필요가 있다. 현재의 프랑스 연금 제도는 기본적으로 세대 간 연대와 사회 직능별 기준에 기초한 연대라는 두 가지 원칙에 기반을 둔다.
각 노동자들은 직종에 따라 각각 다른 연금 계정에 연금을 납부한다. 예를 들어 전문직, 예술가, 작가 등 임금을 받지 않는 노동자들을 위한 연금 계정이 있고, 임금 노동자나 공무원들을 위한 연금 계정들이 각각 따로 존재한다*. 따라서 프랑스의 연금 계정(제도)을 다 합하면 42개에 달한다. 그리고 당연히, 정년, 연금 수령액, 재정 상황은 직종마다, 다시 말해 연금 계정(제도)마다 다르다. 가령 일반 사무직의 경우 통상적으로 정년이 62세지만, (항공 관제사, 교도관 등) (고)위험 직군으로 분류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출생 년도에 따라 다르지만- 55세에서 57세 사이에도 은퇴할 수 있다.
[1] 이 역시 대분류일 뿐이며, 직종별로 다시 세분화된다. 예를 들어 같은 공무원이라도 군인이나 의료기관 종사자는 서로 다른 연금 계정에 연금을 납부한다.
Ces caisses se divisent en trois niveaux en fonction des modes de financement : le régime*[2] de base, le régime complémentaire et le régime supplémentaire. Le régime de base concerne presque tous les employés et travailleurs. Le régime complémentaire a pour but de littéralement « compléter » les prestations par le régime primaire. Les Français versent en moyenne à 2~3 caisses différentes pendant leur vie, puisqu’ils s’affilient généralement aux deux caisses de chaque régime en même temps. Et puis, s’ils changent de métier, ils doivent changer la caisse aussi. Par exemple, pour les salariés du secteur privé, on cotise d’un côté à la CNAV*[3] pour le régime de base, et d’un autre côté à l’Agirc et l’Arrco*[4] pour le complémentaire.
Ces deux régimes sont obligatoires et fonctionnent par répartition, ça veut dire que les travailleurs cotisent les pensions des retraités, et ils ont eux-mêmes le droit à en percevoir lorsqu’ils prennent leur retraite. Il s’agit donc d’un système qui fait preuve de la solidarité « intergénérationnelle ». Le dernier, le régime supplémentaire est facultatif, et fonctionne par capitalisation.
이러한 연금 보험들은 자금 조달 방식에 따라 기초 제도*, 보충 제도, 추가 제도라는 3가지 단계로 나누어진다. 기초 제도는 거의 모든 피고용자들 및 노동자들과 관련되며, 보충 제도는 말 그대로 기초 제도로 받는 수당을 보충하기 위한 제도다. 프랑스인들은 그들의 생애 동안 평균 2~3개의 다른 연금 계정에 연금을 납부하는데, 그들이 일반적으로 각각의 제도(기초, 보충)에 해당하는 두 가지 계정에 동시에 가입하기 때문이고, 그들이 만약 직종을 바꾼다면 연금 계정도 바꾸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민간 부문 임금 노동자들의 경우, 기초 제도에 해당하는 CNAV(국가 노령 보험)에도, 보충 제도에 해당하는 Agirc et l'Arrco에도 연금을 납부한다.
이 두 가지 제도들(기초, 보충 제도)은 의무이며, 부과식으로 운영된다. 부과식이란 근로자들이 은퇴자들의 연금을 부담하고, 그들 자신이 은퇴하면 연금을 수령할 권리를 갖게 되는 방식이다. ‘세대 간’ 연대를 보여주는 시스템인 셈이다. 마지막 추가 제도는 (의무가 아니라) 선택이며, 적립식으로 운영된다.
[2] régime은 기본적으로 ‘제도’, ‘체제’라는 의미의 프랑스어이나, 해당 맥락에서는 régime이 사회 보장 제도의 운영 규칙 전반을 포괄하는 단어로 쓰여 정확하게 대응되는 한국어가 없다. 우리나라 국민 연금 공단의 문서에서는 이를 ‘제도’로 해석하거나 Régimes de Retraites를 통째로 ‘연금’으로 해석하고 있어, 해당 글에서도 편의상 ‘제도’로 통일한다.
[3] CNAV : Caisse Nationale d'Assurance Vieillesse 민간 부문 근로자를 위한 기초 제도
[4] Association générale des institutions de retraite des cadres 민간 부문 근로자를 위한 보충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