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5호 : Pénurie d’énergie et colonialisme vert 에너지난과 녹색 식민주의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5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벌써 10월의 마지막 날이네요.
이번 5호의 주제는 '에너지난'과 '녹색 식민주의'입니다. 러우 전쟁으로 유가, 원자재가가 상승하고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죠. 특히 가스 수입의 절반 가까이를 러시아에 의존하는 유럽은 당장 난방을 틀기 시작하는 11월부터 심각한 에너지난에 시달릴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녹색 식민주의는 저도 이번 호를 쓰면서 처음 알게 된 말인데요, 선진국이 다른 국가의 토지, 노동력 등을 착취해 높은 생활 기준을 성취하는 것을 일컫습니다. 에너지난과 녹색 식민주의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오늘의 레터도 재미있게 읽어 주세요! :)
|
|
|
La Russie représente 45%, presque la moitié des importations de gaz naturel de l’Union Européenne en 2021. Mais l’invasion de l’Ukraine entreprise par Vladimir Poutine déstabilise l’approvisionnement de gaz et fait grimper les prix de l’énergie plus que jamais. Dans ce contexte, l’UE se sent menacée et 85% des Européens s’accordent sur la nécessité d’atténuer la dépendance énergétique à la Russie qui menace la paix en Europe. La Commission européenne lance un plan appelé « REPowerEU » visant à satisfaire la demande générale. Ses objectifs majeurs sont : diversification de l’approvisionnement en gaz, accélération du déploiement des énergies renouvelables et économies d'énergie.
러시아는 2021년 EU의 천연가스 수입의 절반 가까이(45%)를 차지했다. 그러나 푸틴에 의해 촉발된 우크라이나 침략(러우 전쟁)은 가스 공급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에너지 가격이 전례 없이 치솟도록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EU는 위기감을 느꼈고 85%의 유럽인들은 유럽의 평화를 위협하는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유럽 집행 위원회는 이러한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REPowerEU’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주요 목표들은 다음과 같다 : 가스 공급망 다변화, 신재생 에너지 보급 가속화, 그리고 에너지 절감이다.
|
|
|
Afrique comme une terre d’espoir 희망의 땅, 아프리카
Les nouveaux fournisseurs de gaz que l’Europe choisit pour remplacer la Russie, ce sont des pays africains, dont certains comme le Nigeria, la Libye, l'Algérie, l'Angola disposent de réserves gazières en grande quantité. Cependant, leurs infrastructures sont vieillissantes, inappropriées, voire inexistantes, et celles d’Europe sont aussi pauvres. Le plus grand problème est que ce sont l’Espagne et le Portugal qui détiennent les principales installations pour regazéifier le GNL, car les deux pays sont loin des pays d’Europe orientale qui dépendent fortement du gaz russe. En effet, Olaf Scholz, le chancelier allemand a admis les défis de se libérer du gaz russe en disant que « c’est un processus qui demande plus de temps » car cela demande la construction des terminaux à transformer le GNL.
Il est très encourageant que l’Europe a décidé de cesser d’utiliser le combustible fossile et d’accélérer la généralisation des énergies renouvelables, au moins sur le plan écologique. Mais, malgré la concentration de l'Europe sur l'Afrique en tant que nouveau fournisseur d'énergie pour remplacer la Russie, elle ne s'intéresse qu'à ses ressources et est indifférente aux investissements dans les infrastructures.
유럽이 러시아를 대신할 새로운 가스 공급처로 점찍은 것은 나이지리아, 리비아, 알제리, 앙골라 등 가스 매장량이 많은 아프리카의 나라들이다. 그러나 그들의 인프라는 노후화되었고, 적절하지 못하며 심지어는 존재하지도 않는다. 유럽의 인프라 역시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가장 큰 문제는 액화 천연가스를 재가스화하기 위한 주요 설비들을 보유한 곳이 스페인과 포르투갈이라는 점인데, 왜냐하면 이 두 국가들은 러시아산 가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동유럽의 국가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액화 천연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터미널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러시아 가스에 대한 의존을 끊는 것의 어려움을 인정했다.
유럽이 화석 연료 사용을 중단하고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을 가속화하겠다고 결정한 것은 적어도 친환경적인 관점에서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유럽은 러시아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 공급처로 아프리카를 주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자원에만 관심이 있을 뿐 인프라 투자에는 무관심하다.
|
|
|
Le colonialisme vert 녹색 식민주의
Alors, quelle est la situation énergétique actuelle dans les pays africains ? Ces pays sont les premières victimes de cette pénurie et malgré la richesse en gaz naturel, son exploitation reste freinée à cause des activités d’exportations vers l’Europe qui ne cessent pas d’augmenter. Par exemple, le Nigeria, qui garde 3% des réserves du gaz naturel mondial, utilise encore la lampe à huile. Selon la Banque mondiale, en 2019, 100% de la population a accès à l’électricité en UE, en contrepartie, 55% au Nigeria, et seulement 7% au Soudan du Sud.
Jusqu’ici, l’Europe demande aux pays les moins avancés de réduire leur dépendance vis-à-vis des combustibles fossiles pour l’environnement. Mais étant en proie à la pénurie énergétique du fait de la guerre russo-ukrainienne, l’Europe remet les centrales thermiques en fonctionnement. De plus, elle ne tient pas la promesse lors de la COP 15 en 2009 de financer l’Afrique 100 milliards de dollars par an jusqu’à 2020 pour que les pays africains puissent lutter contre le changement climatique. (Seulement environ 20 milliards de dollars ont été versés de 2016 à 2019.) Les scientifiques donnent comme titre « le colonialisme vert » à ces activités.
그렇다면 현재 아프리카 국가들의 에너지 상황은 어떨까? 이들은 풍부한 천연가스를 가지고 있음에도, 유럽에 계속해서 수출하느라 정작 그들은 천연가스를 이용하지 못해 이러한 에너지난의 첫 번째 피해자가 되고 있다. 일례로 전 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3%를 보유하고 있는 나이지리아는 여전히 등유를 사용한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9년 기준 EU의 전력 사용 가능 인구 비율은 100%였으나 나이지리아의 경우 55% 였으며, 남수단은 7%에 불과했다.
지금까지 유럽은 개발도상국들에 환경을 위해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하지만 러우 전쟁으로 에너지난에 처한 유럽은 석탄 화력 발전소 가동을 재개했다. 게다가 유럽은 2009년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했던, 2020년까지 아프리카에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매년 1000억 달러를 지원하겠다는 약속도 지키지 않았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약 200억 달러만이 지원되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행태에 ‘녹색 식민주의’라는 이름을 붙였다.
|
|
|
✍️ 이것만은 꼭! - 에너지와 관련된 표현
- gaz naturel 천연가스
- approvisionnement 공급
- énergies renouvelables 신재생 에너지 (재생 가능 에너지)
-
réserve (천연 자원의) 매장량
- regazéifier (액화 가스를) 재가스화하다
- GNL 액화 천연가스 (= gaz naturel liquéfié)
- combustible fossile 화석 연료
- centrale thermique 화력 발전소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