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27호 : On porte toujours la crise climatique (2)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27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어느새 9월이네요. 모두들 즐겁게 가을을 맞이하시길 바라요! 🍂🍁
오늘은 지난 레터에 이어 패션 산업과 환경 오염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짓고, EU에서 내놓은 의류 산업에 대한 규제안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규제안은 7월 5일에(제 생일입니다 흐흐) 발표된 유럽 폐기물 기본지침(Waste framework directive)인데요, 혹시 이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 걸어놓은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
그럼 오늘도 재미있게 읽어 주세요!
|
|
|
Le rejet, dernière étape du processus de distribution des vêtements, est directement lié à la première étape, la consommation. Le rejet est donc synonyme de gaspillage, résultant de la surconsommation.
Rien qu'en France, 700 000 tonnes de vêtements sont jetées chaque année. Selon McKinsey, les deux tiers des vêtements produits dans le monde sont déchargés ou incinérés. D'après la Fondation Ellen MacArthur, seulement 1% des matériaux utilisés dans la confection des vêtements sont réutilisés pour en fabriquer de nouveaux, car les méthodes de recyclage sont encore peu efficaces.
의류 유통 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폐기는 곧 맨 첫 번째 단계인 구매(소비)와 연결된다. 폐기는 다시 말해 낭비이고, 낭비는 과소비로 인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매년 프랑스에서만 70만 톤의 의류가 버려지고 있다. 맥킨지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생산된 옷의 2/3는 매립되거나 소각된다. 그리고 엘렌 맥아더 재단에 따르면, 옷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 중 단지 1%만이 새 옷을 만드는 데 재사용된다. 재활용 방식이 아직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
|
|
Le gaspillage vestimentaire et la fast fashion
패스트 패션과 낭비
Alors, comment évolue la mentalité et le comportement des gens en ce qui concerne la consommation de vêtements ? Selon le rapport de The Guardian en 2019, « Une jeune femme sur trois, le plus grand segment de consommateurs, considère que les vêtements portés une ou deux fois sont vieux ». Aujourd'hui, on achète davantage de vêtements, mais on les porte moins. La quantité de vêtements achetés dans l'UE a augmenté de 40% entre 1996 et 2012, selon l'Agence européenne pour l'environnement (EEA). Cependant, de nombreux sondages et revues ont révélé que nous ne portons les vêtements en moyenne que sept à dix fois avant de les jeter en Europe. Selon l'EEA, environ un tiers des vêtements des Européens n'a pas quitté l'armoire depuis au moins un an. C'est évidemment « du gaspillage ».
Ce qui contribue le plus à la surconsommation de vêtements et au gaspillage vestimentaire, ce sont les marques de fast fashion. Elles véhiculent l'idée que les vêtements sont des articles bon marché et à court terme, plutôt que des investissements à long terme. En effet, au cours des quinze dernières années, après l'arrivée de ces enseignes, la durée de vie d'un vêtement a été réduite de moitié. Elles dictent la mode et produisent rapidement des vêtements à la mode. Par exemple, Zara, l'une des enseignes de fast fashion les plus populaires, renouvelle ses collections 24 fois par an, soit une nouvelle collection tous les 15 jours.
그렇다면 의류 소비에 있어서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 양식은 어떨까? 2019년 가디언지의 보도에 따르면 ‘(의류의) 가장 큰 소비층인 젊은 여성 세 명 중 한 명은, 한두 번 입은 옷을 낡은 옷으로 생각한다’. 오늘날 우리는 옷을 더 많이 사지만, 더 적게 입는다. 유럽 환경청에 따르면, 1996년부터 2012년까지, EU에서 구매된 옷의 양은 40% 증가했다. 그러나 여러 조사들에 따르면 유럽에서 옷이 버려지기 전에 착용되는 횟수는 평균 7~10회에 불과했다. 유럽 환경청은 유럽인들이 가진 옷들 중 1/3이 최소 1년 동안 옷장 밖으로 나오지도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명백한 낭비다.
의류의 과소비와 낭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이다. 그들은 옷이 장기적인 투자가 아니라 싼 가격에 짧게 입고 버리는 것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었다. 실제로 패스트 패션이라는 것이 생기고 최근 15년간 옷의 수명은 절반으로 줄었다.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은 유행을 선도하고, 유행에 맞는 옷들을 매우 빠르게 만들어낸다. 가령 가장 인기 있는 패스트 패션 브랜드 중 하나인 자라는 일 년에 24번씩 매대를 갈아치운다. 2주에 한 번씩 새로운 컬렉션을 출시한다는 얘기다.
|
|
|
Les directives de l’UE pour réguler la fast fashion 패스트 패션을 규제하려는 EU의 지침들
Chaque gouvernement tente de réduire de tels problèmes environnementaux découlant de l'industrie de la mode. Comme nous l'avons déjà vu, la France a non seulement interdit la destruction des invendus grâce à la loi anti-gaspillage pour une économie circulaire (AGEC), mais elle a également mis en place une réglementation REP (responsabilité élargie des producteurs) pour l'industrie vestimentaire. La REP vise à responsabiliser financièrement les entreprises tout au long du processus (de la production au recyclage, en passant par la fabrication et la destruction). Plus elles polluent, plus elles doivent couvrir les coûts de gestion des déchets textiles.
La France était le seul pays à avoir mis en place la réglementation REP pour le textile jusqu'en 2022. Cependant, en juillet, la Commission a proposé d'introduire cette pratique pour le secteur textile dans tous les États membres de l'UE d'ici 2025 afin de lutter contre les déchets vestimentaires. De plus, Bruxelles souhaite renforcer le contrôle des exportations de déchets textiles. Actuellement, de nombreux déchets sont exportés sous prétexte de « recyclage » vers des pays qui ne disposent pas d'installations adéquates pour les gérer correctement.
Les experts estiment que cela pourrait menacer l'industrie de la mode lorsque ces directives seront suivies. Ils soulignent que la régulation en amont de la production est plus nécessaire que la gestion des déchets, car l'étape de la production a un impact environnemental plus important. Il est donc essentiel de trouver des solutions plus fondamentales. De plus, ils craignent que les entreprises préfèrent payer pour la pollution plutôt que de changer leurs pratiques de production polluantes.
각국 정부에서는 이처럼 패션 산업이 야기하는 환경적 문제들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언급했다시피 프랑스에서는 ‘순환 경제를 위한 반(反) 낭비’ 법을 통해 미판매 재고를 소각하는 것을 금지했으며, 이에 더해 의류 산업에 대해 생산자책임재활용제 (la responsabilité élargie des producteurs (REP))도 실시하고 있다. EPR[1], 생산자책임재활용제란 생산, 제조, 매각, 재활용까지의 전반적인 과정에 있어서 기업들에게 경제적 책임을 부과하는 제도다. 즉 기업들이 더 많이 오염시킬수록, 의류 폐기물 처리 비용을 더 많이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프랑스는 2022년까지 (배터리나 포장재 외에) 의류 산업에도 이 제도를 시행하던 유일한 국가였다. 그러나 지난 7월 EU 위원회는 의류 폐기물을 규제하기 위해 2025년까지 모든 EU 회원국에서 의류 산업에 EPR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EU는 의류 폐기물의 수출 제한도 강화하려 하고 있다. ‘재활용’이라는 명분으로 폐기물 처리 시설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나라들로 많은 의류 폐기물이 수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지침이 준수된다면 패스트 패션 업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는 한편, 규제 필요성이 더 높은 것은 폐기물 처리 단계보다는 생산 이전 단계임을 지적한다. 즉 생산 단계가 환경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환경에 좋지 않은 그들의 생산 관행을 바꾸기보다 오염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1] 프랑스어 약자로는 REP 지만, 영어 약자로는 ‘EPR :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로 쓴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surconsommation 과소비
-
incinérer 소각하다
-
armoire 장롱, 옷장
-
renouveler 새 것으로 바꾸다, (새로) 갈다
-
REP (responsabilité élargie des producteurs) 생산자책임재활용제 (EPR)
-
en amont (강의) 상류에 / 생산 이전 단계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