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푀유 25호 : Le bonus réparation pour les vêtements 📌 뉴스레터 mille-feuille는 한 주제당 최소 20개 이상의 프랑스 기사들을 읽고 핵심만 요약하여 발행합니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적인 표현들과 내용들을 메일 한 통으로 간편하게 파악해 보세요!
📌 모바일보다는 PC로 보시는 것이 가독성이 좋습니다. |
|
|
🍃Mille-feuille 25호
안녕하세요, 밀푀유입니다.
독자님들은 옷을 많이 사시나요? 저는 옷을 정말 좋아하는데.. 요즘에는 줄이려고 노력 중입니다 ㅎㅎ 몇 년 전과 비교했을 때 옷을 잘 입는 사람들이나 의류 쇼핑몰도 더 많아지고, 유행의 주기도 더 짧아진 것 같아요. 하지만 이런 패션 산업이 환경을 가장 많이 오염시키는 산업들 중 하나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책의 일환으로, 프랑스에서는 10월부터 의류 수선 보조금 정책이 도입된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옷을 새로 사기보다 있는 옷을 수선해서 입도록 장려하기 위함인데요, 이외에도 패션 업계와 관련하여 프랑스에서 시행하고 있는 규제 정책들이 있어서 함께 소개합니다.
다음 레터에서는 왜 패션 산업이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지와 더불어, 이와 관련해서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인 패스트 패션에 대해서도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그럼 오늘도 재미있게 읽어 주세요!
|
|
|
Le bonus réparation pour les vêtements 의류 수선 보조금
Afin d'encourager la réparation des vêtements et des chaussures plutôt que leur remplacement par du neuf ou leur mise au rebut, un « bonus réparation » sera appliqué à partir d'octobre en France. Cette initiative a été lancée avec un budget de 154 millions d'euros pour la période allant de 2023 à 2028. Le montant du bonus variera en fonction de la catégorie d’articles, avec une fourchette allant de 6 à 25 euros. Par exemple, le bonus pour la réparation d'un talon sera de 7 euros, tandis que celui pour la réparation d'une doublure se situera entre 10 et 25 euros. Ces aides seront directement déduites de la facture de réparation.
사람들이 의류와 신발들을 버리거나 새로 사는 대신 수선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프랑스에서는 10월부터 ‘수선 보조금’이 시행될 예정이다. 이 보조금에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1억 5400만 유로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보조금 가격은 6~25유로 사이에서 품목에 따라 다르게 책정될 예정이다. 예를 들어 굽 수선은 7유로, 안감 수선은 10유로에서 25유로까지 지원된다. 이 보조금은 수선비 청구서에서 즉시 공제된다. |
|
|
Les politiques françaises pour la planète 지구를 위한 프랑스의 정책들
Le gouvernement français poursuit la mise en place de politiques visant à lutter contre le dérèglement climatique. Par exemple, en décembre 2022, il a déjà lancé le bonus réparation pour les appareils électriques et électroniques, qui a servi de modèle pour le bonus réparation des produits textiles. Le mode de calcul du coût de réparation des appareils électriques est similaire à celui du bonus réparation pour les vêtements : 10 euros pour une bouilloire ou un fer à repasser, 15 euros pour un vélo électrique, 25 euros pour un lave-vaisselle, 30 euros pour une télévision, etc.
De plus, voici quelques mesures françaises exemplaires dans le cadre du mouvement pour la planète : les mesures de la loi anti-gaspillage pour une économie circulaire, adoptées depuis janvier 2022. Elles incluent la suppression des emballages plastiques pour les produits frais, les journaux et les magazines, ainsi que la création de fonds publics pour soutenir le recyclage. Dans le secteur de la mode, il est désormais obligatoire d'afficher l'impact environnemental des produits, et il est également interdit de détruire les invendus. Des amendes pouvant atteindre 15 000 euros peuvent être infligées en cas de non-respect de cette disposition.
프랑스 정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들을 계속해서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에 대한 수리 보조금 정책은 2022년 12월부터 이미 시행되고 있었다. 전자제품 수리 보조금은 (앞서 언급한, 올해부터 시행되는) 섬유 제품에 대한 수선 보조금의 시초가 되는 정책이며, 계산 방식은 의류 수선 보조금 방식과 동일하다 : 주전자나 다리미는 10유로, 전기 자전거는 15유로, 식기 세척기는 25유로, TV는 30유로 등이다.
그리고 프랑스는 지구를 위한 움직임에 있어서 모범적인 정책도 시행하고 있다 : 2022년 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순환 경제를 위한 반(反) 낭비’ 법이다. 이 법은 신선 식품이나 잡지, 신문 등의 플라스틱 포장 금지, 재활용 촉진을 위한 공적 기금의 조성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패션 산업에 있어서는 상품의 환경적 영향을 공고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으며, 미판매 재고를 파괴(매립 또는 소각)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이를 어길 경우 최대 15 000 유로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
|
|
L’interdiction de la destruction des stocks vestimentaires 의류 재고의 파괴 금지
La vente à bas prix des stocks vestimentaires nuit à la valeur de la marque, et leur entreposage entraîne des frais d'entrepôt ainsi que des coûts de main-d'œuvre. Du point de vue des entreprises, l'incinération ou la mise en décharge semblent être les solutions les plus efficaces et les moins coûteuses. Cependant, l'interdiction de la destruction des invendus est bien accueillie par les parties prenantes. Elizabeth Cazorla, directrice générale de BazarChic, la plateforme e-commerce du groupe Galeries Lafayette, a déclaré : « La réglementation fait en sorte qu'aucune entreprise ne puisse ignorer ces questions, même si le consommateur ne les considère pas comme prioritaires. »
Damien Pellé, directeur RSE des Galeries Lafayette et du BHV, a indiqué que la destruction des stocks était un échec total qui n'avait aucun sens sur le plan économique, et qu'il fallait investir massivement dans le développement de nouvelles technologies pour le recyclage et la réutilisation des matériaux, étant donné que les moyens viables sont encore limités pour le moment.
La plupart des enseignes ont opté pour le don comme alternative. Les Galeries Lafayette ont déjà fait don de 100 000 à 150 000 pièces invendues dans les trois ans suivant leur arrivée, entre 2014 et 2020.
재고를 싸게 팔면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고, 쌓아 두면 보관비와 인건비가 발생한다. 그러니 기업 입장에서는 소각과 매립이 가장 싸고 효율적인 재고 처리 방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판매 재고의 파괴 금지는 관계자들에 의해 환영받았다. 갤러리 라파예트 그룹의 이커머스 플랫폼인 BazarChic의 총책임자인 Elizabeth Cazorla는 ‘이 정책은 소비자가 환경 문제를 최우선 순위로 생각하지 않더라도 기업들이 환경 문제를 무시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고 말했다.
갤러리 라파예트와 BHV 백화점의 CSR 책임자인 Damien Pellé는 재고의 파괴는 어떠한 경제적 의미도 없는 완전히 실패한 방식이며, 현재로서는 실현 가능한 재활용 방식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재활용 및 원료의 재사용에 대한 신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은 브랜드들이 대안으로 선택한 방법은 기부다. 갤러리 라파예트는 이미 2014년부터 2020년 사이에, 입고 후 3년 동안 판매되지 않은 상품들을 10만 점에서 15만 점 기부한 바 있다.
|
|
|
✍️ 이것만은 꼭! 오늘의 핵심 단어
- réparation 수리, 수선
- talon 굽
- doublure 안감
- déduire 공제하다, 할인하다
- facture 청구서
- entreposage 창고에 넣기, 입고
- RSE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Responsabilité sociétale des entreprises
|
|
|
|